본문 바로가기

정보

독도, 대한민국의 보물

반응형

독도?

위치: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한국의 작은 섬으로,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합니다. 섬은 대략 북위 37°14'46'' 동경 131°52'31''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지리적 특성: 독도는 동도와 서도라는 두 개의 주요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섬 주변에 여러 작은 바위와 해안들이 있어 종합적으로 독도로 불립니다. 독도는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섬이고 다양한 작은 바위와 해안 동굴이 있다. 해안선은 많은 부분이 바위 절벽으로 되어 있으며, 일부 해안은 수평 해안이나 자갈 해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독도는 남쪽에 경사진 전복부와 북쪽으로 울퉁불퉁한 절벽이 형성된 해안 지형을 갖고 있습니다.

 

독도의 흥미로운 이야기들

 

1. 독도 우표: 독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2004년 한국 우체국은 독도와 관련된 우표를 발행하였습니다. 이 시리즈의 우표들은 독도의 화려한 자연 풍경, 해양 생물, 생태계 등을 표현하였으며, 국가의 문화적 자산으로 인정받아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2. 철새의 독도 이동경로: 독도는 전 세계에서 철새들이 날아오는 중요한 경로 중 하나입니다. 각종 철새들이 힘든 이동 과정에서 독도에서 먹이를 찾고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독도의 생태계는 이들만의 특별한 오아시스 역할을 합니다.

 

3. 독도 수호천사들: 독도는 섬 일대에서 야생 동물들을 보호하려는 자원 봉사자들이 몰려옵니다. 독도에는 독도 야생동물보호협회가 설립되어 있어, 가끔 올빼미, 회색불곰 등의 희귀한 야생 동물들을 보호하고 연구합니다. 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섬의 중요성과 야생 동물들을 보호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독도가 대한민국 땅인 이유

 

1. 세종실록지리지 기록

"우산(독도)과 무릉(울릉도) 두 섬이 현(울진)의 정동 쪽 바다에 있다. 두 섬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날씨가 맑으며 바라볼 수 있다."라고 표기되어 있다.

 

참고 

2023.07.23 - [정보] - "대한민국 지리의 뿌리를 찾다 - 세종대왕과 함께하는 세종실록지리지 여행"

 

"대한민국 지리의 뿌리를 찾다 - 세종대왕과 함께하는 세종실록지리지 여행"

세종실록지리지 세종 대왕은 집권 후 여러 제도를 정비하면서《지리지》편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변계량에게《지리지》편찬을 지시합니다. 조정에서는 일정한《지리지 편찬의 규정을 정

truejinu.tistory.com

 

2. 울릉주민 홍재현의 진술서

"독도가 울릉도의 속도라는 것은 본도(울릉도) 개척 당시부터 도민의 주지하는 사실이다."라고 표기되어 있다.

 

3. 일본 오야가 문서

"울등도 안의 독도"라고 표기되어 있다.

 

4. 일본 최고행정기관 태정관의 지령

"울릉도 외 1도(독도)의 건에 대해서 일본은 관계가 없다는 것을 명심할 것"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5. 대일본전도 - 독도가 없는 일본지도이다.

 

6. 울도군수 심흥택의 보고서 

"본군(울도군, 현재 울릉군) 소속 독도" 표기되어 있다.

 

독도의 생태계와 중요성

 

1. 다양한 생물 종

독도는 그 지리적 특징과 동해의 오션 스트림 덕분에 다양한 동식물이 함께 공존하는 풍부한 생태계를 갖고 있습니다. 섬에는 희귀한 식물 종뿐만 아니라 해조류, 해양 생물, 철새의 서식지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주변 해역에서 풍부한 어촌 자원이 발견됩니다.

 

2. 철새 서식지

독도는 철새들의 중요한 서식지이자 이동 경로에 있습니다. 매년 아프리카와 아시아 그리고 오세아니아와 같은 원거리 지역에서 많은 수의 철새들이 독도를 통해 북방으로 이동하며, 먹이를 찾고 휴식을 취하기도 합니다.

 

3. 새끼 멧돼지 서식지

독도는 멧돼지 서식의 특수성이 짙은 곳입니다. 섬 내 멧돼지 무리로 탈출 길이 막힌 상태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어 인접한 해수욕장 소나무 숲을 활동터로 국립 독도자연보호연구소로부터 직접 관리되고 있는데요. 이러한 곳에서 독특하게 발전한 커다란 멧돼지 서식지는 독도의 생태학적 가치를 높이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4. 해양 생물의 서식지

독도 주변 해역은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섬 주변에는 성게, 조개, 갑각류, 물고기 등 수많은 해양 생물들이 발견되며, 이는 독도의 해양 생태계 가치를 높여줍니다. 

 

독도를 지키기 위한 노력 방안

 

1. 교육 및 홍보: 독도의 역사, 지리, 생태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교육과 홍보를 통해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대중들이 독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정치적 대응: 정부 차원에서 영토 주장에 대한 명확한 정책과 입장을 표명하며 국제 사회에 알립니다. 국제 기구나 외교 행사에서 독도의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와 협력을 시도합니다.

 

3. 학술 연구: 독도에 대한 학술 연구를 활성화하여 역사, 지리, 생태계 등과 관련된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합니다. 이를 통해 독도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주장을 반박하고 올바른 인식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4. 경비 및 관리: 경비대를 파견하여 영토 주장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섬을 관리합니다. 섬 주변의 영해와 공해에서 위법 행위를 감시하고 침범을 방지합니다.

 

5. 환경 보호 및 생태 관리: 독도의 생태계를 보호하며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을 도입합니다. 이를 통해 섬 주변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 종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철새의 기능을 유지합니다.

 

6. 관광 활성화: 독도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여행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독도의 가치를 인심에 높입니다.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독도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알리며, 섬에 대한 자부심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결론

 

독도는 대한민국의 우리 땅으로서 그 지리적, 역사적, 생태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기에 우리 모두가 함께 독도를 지켜야 합니다. 영토의 일부로서 독도는 우리의 국민적 자부심과 함께 과거, 현재, 미래세대의 책임 의식을 높여야 합니다. 한일 간의 영토분쟁에도 불구하고 독도의 보호와 올바른 인식은 우리 모두의 임무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독도의 가치를 국내외에 알리고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지키고 미래 세대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독도를 지켜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더 큰 의지로 독도의 가치를 알리는 일에 앞장서자면 차세대에 전달할 올바른 인식과 함께, 독도에 대한 지속 가능한 보존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독도는 대한민국 땅이니 지켜야 합니다.

 

출처 : 반크 www.prkorea.com  - 독도가 우리땅인 명백한 이유!(포스트 부분 - 독도가 대한민국 땅인 이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