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대한민국 지리의 뿌리를 찾다 - 세종대왕과 함께하는 세종실록지리지 여행"

반응형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세종실록지리지

 

세종 대왕은 집권 후 여러 제도를 정비하면서《지리지》편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변계량에게《지리지》편찬을 지시합니다. 조정에서는 일정한《지리지 편찬의 규정을 정하여 8도에 지시하고 8도에서는 그 규정에 의거하여《지리지》를 편찬하여 조정에 보고하였습니다. 이렇게 보고된 8도의《지리지》를 참고하여 1432년에《전국지리지》가 편찬되었습니다. 이 전국《지리지》는 수결본 상태로 춘추관에 보관되다가 1454년에《세종실록》을 편찬하면서 약간의 보완을 거쳐 그 부록으로 수록됩니다. 이《지리지》가 흔히 말하는《세종실록지리지》입니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에 담긴 내용

 

《세종실록지리지》에는 한성부와 개성유후사를 독립적으로 다루었으며, 경기도 41개, 충청도 55개, 경상도 66개, 전라도 56개, 황도 해 24개, 강원도 24개, 평안도 47개, 함길도 21개 등의 334개 고을을 다루었습니다. 각 고을을 표기할 때에는 지방관의 등급과 인원, 고을 연혁, 고을 별호, 속현과 속현 연혁, 진산과 명산대천, 고을 사방 경계까지의 거리, 호구[속현도 따로 기재]와 군정 수, 성씨[속현도 따로 기재], 토질과 전결(田結), 토의(土宜)[토산물], 토공(土貢)[공물], 약재, 토산, 누대, 역, 봉수, 산성, 제언(堤堰), 사찰 등의 순서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세종실록지리지의 의의

 

①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제대로 된 형태로 만들어진 지리지

● 삼국사기지리지와 고려사지리지는 후대 왕조가 만들어 내용이 정확하지 않고 분량도 적지만, 세종실록지리지는 당대에 만들어진 것이며 필수적인 내용들이 꼼꼼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② 조선이 고려보다 강한 중앙집권국가임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자료

 고려 왕조에서 왕권이 가장 강했던 광종 시기에도 행정력이 지방 구석에까지 미치지 못했고, 지방관 파견도 중앙 5도 지역과 일부 큰 주현에만 한정되었으며, 기타 속현까지는 파견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세종실록지리지를 보면 전국 모든 고을의 조세 수취, 군역 징발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지리지를 통해 모든 고을에 지방관을 파견하여 조세와 군역 등을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지방의 문화, 백성들의 생활과 처한 상황까지 보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③ 외국과의 영토 분쟁에 있어서 중요한 사료

 독도를 직접적으로 언급한 최초의 기록 문헌이 세종실록지리지인데 일본의 최초 기록인 은주시청합기보다 빠른 시기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대한민국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입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에 표기되어 있는 독도

 

강원도 울진현의 마지막 부분에는 태종과 세종 때 김인우 등에게 명하여 여러 번에 걸쳐 조사한 울릉도와 독도의 정보가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于山武陵二島在縣正東海中 [해석: 우산(도)과 무릉(도) 두 섬이 고을의 정 동쪽 바다 가운데에 있다] / 二島相去不遠 風日淸明 則可望見 [해석: 두 섬은 서로 거리가 멀지 않아 날씨가 맑으면 바라볼 수 있다]

 

울진현 동쪽의 바다 가운데에서 ‘거리가 멀지 않아 날씨가 맑으면 바라볼 수 있는’ 두 섬으로 울릉도와 독도 이외의 다른 섬을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세종실록지리지’는 독도가 우리 땅임을 분명하게 서술한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입니다.

 

[출처] 국립중앙도서관 - 세종실록지리지

 

결론

 

세종실록지리지는 대한민국의 지리를 꼼꼼하게 기록한 지리서이기에 중요한 사료입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영토권인 독도도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에게도 큰 반박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사료입니다. 그렇기에 이 세종실록지리지는 우리에게 소중한 자료이며 이를 근거로 하여 독도의 영유권을 다른 나라에게 빼앗겨서는 안됩니다.

 

참고 내용 :

2023.07.19 - [정보] - 독도, 대한민국의 보물

 

독도, 대한민국의 보물

독도? 위치: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한국의 작은 섬으로,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합니다. 섬은 대략 북위 37°14'46'' 동경 131°52'31''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지리적 특성: 독도는 동도와 서도

truejinu.tistory.com

 

반응형